728x90
반응형
1. 에러 발생 및 해결
- 발생: elastic search, kibana를 각각 컨테이너를 띄인 후에 elastic search와 kibana 통신하기 위해서 이후에 network를 생성했다. docker connect [네트워크이름] [컨테이너id] 로 각각의 컨테이너를 네트워크에 연결한 후에 enrollment token을 받았는데 로그인이 되지 않았다. → 요약 : run할 때 연결안하고 나중에 network에 각 컨테이너를 connect 하는 상황!
- 상황1: 그래서 docker inspect [컨테이너id]를 통해서 두 컨테이너의 IPAddress를 확인했다. 똑같았다.
- 상황2: kibaba.yml에 문제가 있다고 해 config의 yml에 접근해 root -> kibana로 변경해도 에러는 똑같이 발생했다.
- 해결: 그래서 기존의 컨테이너 삭제 시키고 dokcer run할 때에 바로 --net [네트워크이름] 으로 실행시켰는데 로그인이 되었다.
- 결론: elastic search, kibana 의 각 컨테이너끼리 소통하기 위한 network를 생성하고 docker run할 때 network를 연결해야 로그인이 된다.
2. 참고사이트
- 도커로 elastic search, kibana 키는 방법
https://ksb-dev.tistory.com/309
엘라스틱서치 8.X 도커로 무작성 실행해보기
1. 개요 검색엔진으로 유명한 엘라스틱 서치(Elastic Search)를 도커로 실행해 볼 것입니다. 엘라스틱 서치 버전 8 부터 Security가 default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, 이전 버전과 달리 비밀번호를 설정해
ksb-dev.tistory.com
Window 환경에서 Docker를 사용하여 Elastic Search, Kibana 설치
목차 > **1. 터미널에서 Docker Pull 명령어로 elasticsearch 버전 8.6.0 Install Docker Network 생성 elastic search 실행 elastic search 비밀번호 초기화 elastic search 인증서 로컬로 복제
velog.io
728x90
반응형
'프로젝트 > 나무위키LL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RROR] FastAPI - 422 Unprocessable Entity (0) | 2024.01.29 |
---|---|
[namu-wiki-llm] sprint2 회고 (0) | 2024.01.19 |
[namu-wiki-llm] sprint1 회고 (0) | 2024.01.11 |
[namu-wiki-llm] Elastic Search - 한글 검색 성능 고도화 (0) | 2024.01.11 |
[namu-wiki-llm] 프로젝트 개요 및 설계 (0) | 2024.01.11 |